UIUX

읽기만 해도 이해가 되는 서비스·경험디자인기사 필기 대비 핵심 키워드 정리(1~3장)

레모니얼 2025. 4. 21. 23:19

 

unsplash

1. 디자인의 개념과 정의

 

디자인이란 무엇일까요?

디자인은 세상에 없던 것을 계획하고, 꾸미고, 만드는 일을 말합니다. 그냥 예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이걸 누가 사용할까?', '어떤 상황에서 사용할까?'를 깊이 고민해서 만들어야 합니다.
예를 들면, 우리가 매일 앉는 의자도 디자인할 때 단순히 '앉을 수 있다'를 넘어서 '오래 앉아도 편해야 해', '방 인테리어랑 잘 어울려야 해'까지 생각해서 만드는 것이죠.
시험에서는 "디자인"이 단순한 장식이 아니라 문제 해결적 사고와 계획적 창조활동이라는 걸 강조해서 기억해야 합니다.

 

그럼 산업디자인은 뭘까요?

산업디자인은 일상에서 사용하는 물건이나 서비스를 기능적이면서도 아름답게 만드는 디자인을 말합니다. 멋만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쓸 때 편리한가?'까지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면, 자동차 디자인은 멋진 외관뿐만 아니라, 공기의 저항을 줄여서 연비를 높이는 '공기역학적 설계'까지 포함됩니다.
시험에서는 '산업디자인진흥법'에서 산업디자인을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꼭 기억해두세요.

 

다음은 디자인씽입니다.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은 디자이너처럼 문제를 새롭게 보고,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사고방식입니다. 정해진 답을 찾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의 입장에서 문제를 바라보고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병원 대기시간이 너무 길어 불편하다는 문제를 '대기공간을 어린이 놀이방처럼 바꾸자'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디자인씽킹은 공감(Empathize) → 문제정의(Define) → 아이디어발산(Ideate) → 프로토타입(Prototype) → 테스트(Test) 다섯 단계 흐름을 반드시 기억해야 합니다.

desgin thinking process

 

2. 디자인의 분류와 특성

디자인은 종류가 정말 다양합니다. 대표적인 분류를 알아볼게요.

제품디자인은 우리가 손으로 만지고 사용할 수 있는 실제 물건을 디자인하는 것을 말합니다. 기능성, 편리함, 아름다움까지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이나 전자레인지, 텀블러 같은 것들이 모두 제품디자인의 결과물입니다.
시험에서는 제품디자인의 대표적인 예시를 알고 있어야 합니다.

시각디자인은 정보를 눈에 보이게 정리하고 전달하는 디자인입니다. 멋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정보를 정확히 전달하는 것이 가장 큰 목적입니다.
예를 들면, 지하철 노선도나 책 표지, 광고 포스터 등이 시각디자인의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정보 전달이라는 '기능'을 꼭 기억하세요.

공간디자인은 사람들의 움직임과 감정을 고려해서 건물 안팎의 공간을 설계하는 디자인입니다.
예를 들면, 카페 인테리어를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단순히 예쁘게 꾸미는 것이 아니라, 손님이 편하게 느끼고 오래 머무를 수 있도록 동선, 가구 배치, 조명까지 신경 써야 합니다.
실내외 공간 모두 포함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서비스디자인은 사람이 어떤 서비스를 이용할 때 겪는 전체 경험을 설계하는 디자인입니다.
예를 들면, 병원 예약 → 대기 → 진료 → 약 수령까지의 전 과정을 사용자의 입장에서 불편 없이 매끄럽게 이어지도록 설계하는 것이 서비스디자인입니다.
서비스디자인은 유형과 무형을 모두 다룬다는 것을 꼭 기억하세요.

디지털미디어디자인은 웹, 앱, 게임 같은 디지털 환경 안에서 이루어지는 디자인입니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 앱의 화면을 디자인하거나, 웹사이트의 구조와 비주얼을 설계하는 것이 이에 해당합니다.
디지털 환경의 특성인 '인터랙티브성(상호작용성)'을 함께 기억해두세요.

 

3. 디자인의 사회적 기능과 윤리

디자인은 단순히 멋을 내는 것을 넘어, 사회에 좋은 영향을 주기도 합니다. 그래서 윤리적인 관점도 매우 중요합니다.

 

지속가능한 디자인(Sustainable Design) 친환경 건축

지속가능한 디자인(Sustainable Design)은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를 위해 환경과 사람을 함께 고려하는 디자인입니다.
예를 들면, 일회용 비닐봉투 대신 재활용이 가능한 에코백을 디자인하거나, 오래 쓸 수 있는 튼튼한 가구를 만드는 것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3R 원칙, 즉 Reduce(줄이기), Reuse(다시쓰기), Recycle(재활용) 을 반드시 기억해야 합니다.

 

유니버설디자인(Universal Design)나이, 성별, 장애 여부에 관계없이 모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디자인을 뜻합니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버튼에 점자가 있는 것, 자동문 설치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7대 원칙'(공평성, 융통성, 단순성 등)도 함께 외워야 합니다.

더보기

유니버셜디자인 7대 원칙

  1. 공평한 사용
    • 누구나 차별 없이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2. 사용상의 융통성
    •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3. 간단하고 직관적인 사용
    • 복잡하지 않고 쉽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4. 정보의 인지성
    • 필요한 정보를 쉽게 보고 들을 수 있어야 한다.
  5. 오류에 대한 관용
    • 실수해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6. 적은 물리적 노력
    • 힘을 많이 들이지 않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7. 접근과 사용을 위한 충분한 크기와 공간
    • 휠체어, 유아차 등을 포함한 다양한 사용자가 편하게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inclusive design

인클루시브디자인(Inclusive Design)은 소수자나 약자도 배려해서 모두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디자인입니다.
예를 들면, 휠체어를 탄 사람이 쉽게 출입할 수 있도록 설계된 카페 입구가 있습니다.
유니버설디자인과 인클루시브디자인의 차이를 정확히 구분해야 합니다.

 

유모차, 장애인의 이동을 돕기 위한 저상버스

베리어프리(Barrier Free)는 물리적, 심리적 장애를 없애서 누구나 자유롭게 이동하고 활동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지하철역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거나, 저상버스를 도입하는 것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베리어프리는 특히 '법적 기준이 있다'는 점도 함께 기억해야 합니다.

 

 


요약

  • 디자인은 '예쁜 것'만이 아니라 '문제를 해결하고 사람을 위한 것'이다.
  • 제품, 시각, 공간, 서비스, 디지털 디자인의 구분을 명확히 해야 한다.
  • 지속가능성, 포용성, 모두를 위한 디자인은 최근 디자인의 큰 흐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