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경험디자인기사 필기 4과목 예상 문제 키워드 정리
필기의 마지막 과목 4과목이다.
이 과목은 조사하고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눈에 보이고 손에 잡히는 형태로 만들어내는 단계이다.
프로토타입, 시나리오, 스토리보드 등은 실기에서 직접 만들어야 하는 항목이니, 이해 + 적용 + 연습이 중요하다.
1. 프로토타입 개발
🔑 키워드 1~8
프로토타입 기획
→ 아이디어를 실제처럼 보여주기 위해 어떤 걸 만들지 계획
예) “아동용 앱의 화면 흐름을 체험할 수 있는 화면 클릭형 데모 구성”
프로토타입 모델 설계
→ 사용자가 어떤 순서로 서비스에 접근하는지 구조화
예) “회원가입 → 홈화면 → 검색 → 예약 → 결제 흐름”
프로토타입 제작 계획 수립
→ 누가, 언제, 어떤 도구로 만들지를 정하는 단계
예) “Figma 사용, 디자이너 2인, 2주 제작 일정”
프로토타입 모델링
→ 실제처럼 보이게 시뮬레이션 형태로 시각화
예) “앱을 눌러보며 동작하는 인터랙션 UI 구성”
디자인 요소 구성
→ 색상, 아이콘, 버튼 등 시각적인 요소 설정
예) “심플한 흰색 배경 + 파란 포인트 컬러 + 직관 아이콘”
프로토타입 시뮬레이션
→ 사용자가 체험할 수 있도록 만든 가상 환경
예) “앱 클릭 시 화면 전환이 이루어지는 플로우”
정적/동적 프로토타입 구분
→ 정적: 이미지 위주 / 동적: 실제처럼 조작 가능
예) “PowerPoint 슬라이드 vs HTML 기반 앱 데모”
저충실도/고충실도 프로토타입 구분
→ 러프한 스케치 vs 실제 서비스에 가까운 완성도
예) “종이 위 낙서 vs 인터랙션 포함된 앱 UI 시안”
2. 시나리오 개발
🔑 키워드 9~20
서비스 시나리오 기획
→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서비스를 사용하는지 이야기 구성
예) “퇴근길 직장인이 모바일 예약 주문하는 흐름”
페르소나 상황 설정
→ 특정 사용자에게 맞춘 일상적 사용 장면 구성
예) “육아 중인 워킹맘이 아침에 유모차로 병원 예약하는 상황”
신규 서비스 상황 구성
→ 기존에는 없던 새로운 서비스 이용 흐름 설정
예) “혼잡한 지하철역에서 AR 길찾기 서비스 활용”
스토리보드 제작
→ 시나리오를 장면 단위로 이미지·텍스트로 표현
예) “사용자 행동 + 화면 + 대사 + 감정까지 포함한 6컷 구성”
스토리보드 필수 요소
→ 장면, 대사, 감정, 행동, 배경, 문제점 등을 명확하게
예) “카페앱 오작동으로 재시도하는 장면 + ‘왜 또 이래!’ 대사”
상황 기반 시나리오
→ 실제 사용 맥락(시간, 장소, 기기 등)을 반영한 이야기
예) “출근길 버스 안에서 한 손으로 앱 조작”
극단적 사용자 시나리오
→ 일반적이지 않은 사용자(장애인, 고령자 등) 고려
예) “시각장애인이 키오스크에서 식당 메뉴 고르는 장면”
시나리오 타당성 평가
→ 실제 서비스에서 적용 가능한지 점검
예) “이 스토리보드가 현실에서 말이 되나?” 검토
개선방안 도출
→ 시나리오 평가 후 문제점 보완책 제안
예) “고령자용 큰 글씨 모드 추가 기능 제안”
서비스 테스트 준비
→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사용자 평가 진행 준비
예) “시나리오 기반으로 피드백 받을 인터뷰 구성”
정의형 | “프로토타입의 목적은?” |
비교형 | “고충실도 vs 저충실도의 차이는?” |
순서형 | “스토리보드 구성 흐름을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
사례형 | “다음 사례는 어떤 시나리오 유형인가?” |
드디어 4단원까지 기본 키워드 개념 정리를 마무리해보았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시험장 들어가기 전까지 반복 학습 할 수 있는 키워드 요약집을 포스팅으로 풀어보려고 한다.
컨텐츠가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서비스디자인기사 #프로토타입 #시나리오개발 #스토리보드 #UX설계 #서비스모델링 #페르소나활용 #실기연계 #디자인기사공부 #사용자중심설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