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IUX
서비스경험디자인기사 필기 2과목 예상 문제 키워드 정리
레모니얼
2025. 4. 13. 11:46
지난번 1과목에 이은 서비스경험디자인기사 필기 2과목 정리
단기간 고효율로 합격하기 위한 핵심 키워드를 정리해본다
1. 환경조사 (데스크 리서치 & 경쟁 환경 분석)
🔑 키워드 1~6
- 데스크 리서치(Desk Research)
👉 기존 문헌, 통계, 보고서 등을 바탕으로 자료 조사
예: 서울시의 공공디자인 백서 찾아보기 - 데스크 리서치 고려사항
✔ 정보의 신뢰성
✔ 최신성
✔ 활용 가능성 - 거시적 환경 조사
👉 사회, 경제, 문화, 정책 등 큰 흐름 조사 - 미시적 환경 조사
👉 우리 서비스에 직접 영향을 주는 주변 환경
예: 동네 상권, 경쟁 업체 등 - 경쟁 서비스 분석
👉 어떤 서비스가 유사하게 존재하는지 파악
→ SWOT 분석 등 활용 가능
2. 관찰조사 (현장 보고, 행동 분석)
🔑 키워드 7~14
- 사용자 유형 분류
👉 고객을 성향/행동에 따라 나누기
예: 실용형 vs 감성형 고객 - 라이프스타일 조사
👉 사용자의 생활패턴과 일상 이해
예: 워킹맘은 언제 차를 쓰는가? - 관찰조사 설계
👉 무엇을 어떻게 볼지 계획
✔ 대상 ✔ 시간 ✔ 장소 ✔ 관점 - 행동패턴 분석
👉 언제 어디서 어떻게 행동하는지 파악
예: 앱 사용 시간대, 주로 누르는 버튼 등 - 잠재요구 분석
👉 사용자는 말 안 했지만 필요로 하는 것
→ 공감 + 추론이 필요!
3. 면접조사 (인터뷰 기획 & 실행)
🔑 키워드 15~21
- 면접조사 설계
✔ 조사 목적 설정
✔ 면접 대상 선정
✔ 질문 설계 (개방형, 폐쇄형) - IRB(조사윤리)
→ 개인정보 동의, 사전 고지 등 반드시 숙지! - 시범면접(Pilot Interview)
→ 본 면접 전에 테스트로 해보는 인터뷰 - 의사소통 기술
→ 공감, 리액션, 적절한 질문 유도 등 중요
4. 정성조사 (FGI & 심층 인터뷰)
🔑 키워드 22~29
- FGI (Focus Group Interview)
👉 한 주제에 대해 다양한 사람의 의견 수렴
예: 30대 워킹맘을 모아 자동차에 대해 토론 - FGI 과정
① 주제 설정
② 대상자 섭외
③ 질문지 준비
④ 녹음·녹화
⑤ 내용 정리 및 분석 - 심층인터뷰(In-Depth Interview)
→ 한 명과 깊게 이야기 나누며 내면의 생각까지 끌어냄
✔ 사전 동의 필수
✔ 분석적 질문 사용
2과목 키워드 정리 | ||
구분 | 용어 | 설명 |
1 | 데스크 리서치 | 책상 위 자료로 미리 조사하는 방식 |
2 | 1차 자료 | 내가 직접 모은 최신 정보 |
3 | 2차 자료 | 이미 누군가 조사해둔 데이터 |
4 | 거시환경 조사 | 사회/경제/정책 등 큰 흐름 파악 |
5 | 미시환경 조사 | 경쟁사, 고객 등 주변 시장 분석 |
6 | 유사서비스 조사 | 경쟁자 서비스 장단점 비교 |
7 | 사용자 유형 | 고객을 성향이나 행동으로 나눈 분류 |
8 | 라이프스타일 | 고객의 일상과 생활 패턴 |
9 | 관찰조사 | 눈으로 보고 행동을 기록하는 조사 |
10 | 관찰조사 설계 | 어디서, 누구를, 어떻게 볼지 계획 |
11 | 행동패턴 | 사용자가 반복하는 습관이나 동선 |
12 | 잠재요구 | 말은 안 하지만 실제로 필요한 것 |
13 | 사용자 경험 | 사용자가 느끼는 감정과 불편함 |
14 | 관찰조사 범위 | 조사할 대상과 시간, 상황 설정 |
15 | 사용자 행동 분석 | 사용자의 실제 행동을 분석 |
16 | 의사소통 기술 | 질문 잘하고 공감하는 인터뷰 기술 |
17 | 면접조사 | 대화를 통해 깊이 있는 정보 수집 |
18 | 면접조사 설계 | 질문지·대상자·일정까지 미리 준비 |
19 | 조사윤리(IRB) | 개인정보와 동의 절차 지켜야 함 |
20 | 시범면접 | 본조사 전에 테스트로 예행연습 |
21 | 오픈형 질문 | 자유롭게 말할 수 있게 하는 질문 |
22 | 폐쇄형 질문 | 예/아니오 또는 선택형 질문 |
23 | FGI | 여러 사람과 한 주제로 토론하는 조사 |
24 | FGI 대상자 | 공통점 있는 사용자 집단 |
25 | FGI 질문지 | 그룹 인터뷰용 핵심 질문들 |
26 | FGI 스크립트 | 녹화/녹음한 인터뷰 내용을 텍스트화 |
27 | FGI 분석 | 공통된 의견/문제점 정리 |
28 | 심층인터뷰 | 1:1로 깊게 대화하며 니즈 파악 |
29 | 인터뷰 가이드 | 인터뷰 흐름을 위한 체크리스트 |
30 | 동의 절차 | 사전에 인터뷰 허락 받기 |
31 | 인터뷰 기록 | 메모, 녹음, 녹화 등으로 내용 저장 |
32 | 인터뷰 정리 | 이야기 흐름을 분석해 분류 |
33 | 정성조사 | 수치가 아닌 감정과 생각 중심의 조사 |
34 | 사용자 리서치 | 고객을 알고 싶은 모든 활동 |
35 | 페르소나 | 조사 결과로 만든 가상의 대표 고객 |
36 | 여정지도 | 고객의 행동과 감정 흐름 정리도 |
37 | 인사이트 | 조사 통해 새롭게 알게 된 핵심 포인트 |
38 | 휴리스틱 평가 | 전문가가 직관으로 UI/UX 문제 찾기 |
39 | 사용성 평가 | 얼마나 편하고 쉽게 쓸 수 있는지 체크 |
40 | A/B 테스트 | 두 가지 안을 비교해 더 나은 쪽 찾기 |
눈으로 익히고, 손으로 정리하고, 입으로 말해보는 연습을 꼭 해보아야 단기간 고득점이 가능하다.
포스팅 저장하고 눈으로 반복학습을 추천한다.